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 경관<미주·캐나다·한국> 한자리에…“소통 통해 협력 강화”

  북미 지역 한인 경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미국 및 캐나다 지역 한인 경관을 비롯해 한국 경찰 관계자까지 총출동했다.   한인경찰공무원협회(KALEO·회장 벤 박)가 지난 27일 라스베이거스 하라스 호텔에서 ‘2024 한인 경찰 콘퍼런스(Korean Law Enforcement Conference)’를 개최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지난해 시카고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행사다. 120여명의 한인 경관이 모였다. LA경찰국(LAPD), 리버사이드카운티검찰청, 뉴욕경찰국, 앵커리지경찰국 등 미국에서만 33개 법집행기관 소속 한인 경관들이 참석했다. 또 왕립기마경찰국, 토론토경찰국 등 2개 캐나다 사법기관 소속 한인 경관들도 모습을 보였다.   주최 측은 “북미 지역 35개 사법 기관에 소속된 한인 경관들이 이번 콘퍼런스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30일까지 진행될 이번 콘퍼런스에는 코리안-아메리칸법집행기관그룹(KALEG), 코리안-아메리칸 법집행기관 형제단(KABLE), 코리안-아메리칸 경관협회(KAOA), 코리안-아메리칸 경찰협회(KANPA) 등 전국의 한인 법집행기관 종사자들로 구성된 단체 7곳이 참여했다.   벤 박 KALEO 회장은 “KALEO를 비롯한 전국의 한인 경관 모임의 회원 수를 모두 합하면 약 700명 정도 되는데, 실제 한인 경관 수는 이보다 더 될 것으로 추산한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28일 개막식에서 “북미 지역 한인 경관뿐만 아니라 한국 경찰 관계자까지 모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 협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도 말했다.   북미 지역의 한인 경관들이 모처럼 한자리에 모인 만큼 콘퍼런스는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 참석한 한인들은 주로 현장에서 뛰는 ‘오피서(officer)’ ‘디텍티브(detective)’ ‘시니어 리드 오피서(senior lead officer)’부터 국장급(chief)까지 계급도 다양했다. 20대 신참 경관부터 50대 중반의 경관까지 있었다.     지난 2022년 퇴직한 토니 이 전 UCLA경찰국장은 본지와 인터뷰에서 “1980년대에 가주 내 한인 경관은 10명 남짓이었다”며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전국에 많은 한인 경관이 근무하고 있고, 젊은 경관들도 많아졌음을 확인하게 됐다”고 말했다.   참석자 중에는 세실 람보 LA국제공항 경찰국장도 있었다. 람보 국장은 지난 1959년 서울에서 한국인 어머니와 흑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지 5개월 만에 미국으로 입양됐다. 그는 이날 강연자로 나서 LA국제공항 경찰 업무 소개부터 고위 경찰공무원이 되기까지 자신의 성장사, 경찰로서의 태도 등을 공유했다.   한인 경관 중 최고위직에 오른 도미니크 최 LAPD 수석부국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미국 도처에서 한인 경관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봉사하고 있다”며 “콘퍼런스에 모인 경관들이 좋은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조지호 한국 경찰청장도 영상 축사로 콘퍼런스에 참석한 한인 경관들을 격려했다. 조 청장은 “북미 지역 한인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한국 경찰청은 한인 경관분들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더 긴밀히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한국 경찰청은 데이비드 박 왕립기마경찰국 경관, 낸시 권 LA카운티셰리프국 경관 등 한인 경관 6명에게 감사패를 전달하기도 했다.   더불어 이날 미국 법집행 기관의 수사 방법, 커뮤니티 협력 방안 등 경찰 활동에 대한 강연과 토의도 진행됐다.   강연자로 나선 켈리 맥마힐 전 라스베이거스경찰국 부국장은 호텔, 클럽, 대형 스포츠 경기장 등이 밀집된 관광 구역 내 경찰 활동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나눴다. 그는 지난 2017년 발생한 라스베이거스 카지노 거리 총기 난사 사건(만델레이 베이 총격 사건)을 예시로 수사 방법부터 사법기관 간의 공조, 지역 미디어와의 협조 방법 등에 대해 언급했다.   한편, 한미 경찰 공조 강화를 위해 한국 외교 및 경찰 관계자들도 콘퍼런스에 참석했다. 김영완 LA총영사, 강경한 경찰영사를 비롯해 이종규 주미대사관 외사협력관, 탁광오 토론토총영사관 경찰영사 등도 참석했다. 라스베이거스 글·사진=김경준·정윤재 기자토론토 한인 한인 경관 캐나다 한인 한인 경찰

2024-10-28

캐나다 한인, 3세대가 지나도 여전히 빈곤한 편

 한국이 경제 규모에서 10대 강국에 속하는 선진국이지만, 캐나다 한인 이민자는 3세대가 지나도 빈곤율이 흑인, 남아메리카, 아랍, 서아시아 이민자들과 같이 백인보다 높았고, 일본, 중국, 필리핀, 남아시아인이 백인보다 낮은 것과 비교가 됐다.   연방통계청이 23일 발표한 각 인종별 3세 이상 빈곤 상황 관련 분석 보고서에서 2020년 기준 빈곤 관측비율(observed rate)에서 한인 3세대 이상의 빈곤율은 7.4%였다.   이는 백인 빈곤율(poverty rate) 6%에 비해 높았다. 백인보다 높은 인종은 서아시안 16.9%, 라틴 아메리칸 14.1%, 흑인 12.1%, 아랍 9.2%, 동남아시아 8.1% 등이었다.   반면 백인보다 같거나 낮은 인종은 남아시안 6%, 필리피노 5.7%, 일본인 5.5%, 중국인 5.1%였다.   연방통계청은 빈곤율은 의식주 비용과 다른 기초 생활을 위한 재화나 서비스에 기초한 시장 바구니 측정(Market Basket Measure)을 사용해 정의했다고 설명했다.   백인과 이민 1세 사이의 빈곤율 차이는 1세대에서 가장 컸다. 이후 2세, 3세로 내려가며 그 차이가 감소했다. 10대 경제강국이라 불리는 한인은 다른 개발도상국과 같이 백인에 비해 빈곤율이 높았고, 필리핀이나 중국, 남아시아인보다 못사는 비율이 높았다.   비백인 가정의 빈곤율이 높은 이유로 사회인구학적(sociodemographic) 요인을 들고 있는데, 예로 일부 인종그룹은 많은 수의 자녀를 두고, 편부모인 경우가 많아 빈곤율 위험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연령분포, 가계의 최고학력, 고용 수입이 있는 가구원 수, 가계 형태, 영어나 프랑스어 능력, 거주 지역 등이 꼽혔다.   그러나 이를 모두 감안할 경우 한인이 일본계나, 중국계, 남아시아나, 필리피노에 비해 3세대의 빈곤율이 높을 것을 설명하기 힘들어 보인다.   그런데 이런 모든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백인과 같다고 놓고 보는 보정비율(Adjusted rate)에서도 3세대 이상의 빈곤율에서 한국은 7%로 여전히 백인보다 높고 오히려 동남아시아인의 6.7%도 높았다. 표영태 기자중국 일본 백인 빈곤율 빈곤율 위험성 캐나다 한인

2023-08-24

캐나다 한인 중심지는 광역토론토가 아닌 메트로밴쿠버로 이동

 전국에서 인구 대비 가장 많은 한국어 사용자가 몰려 있는 주는 BC주이고, 도시는 코퀴틀람이다. 또 단기 방문자들의 수 등을 감안할 때 이미 BC주의 한인 수가 온타리오주보다 많을 수 있다는 계산도 나온다.   연방통계청이 지난 17일부로 업데이트한 2021년 인구센서스 자료 중 언어 관련 데이터에서 한국어를 모국어라 대답한 수가 18만 4650명이었다.   각 주별로 보면 온타리오주가 8만 1725명으로 가장 많았고, BC주는 6만 4535명이었으며, 알버타주가 2만 1020명, 퀘벡주가 7240명, 마니토바주가 3735명, 노바스코샤주가 2570명, 사스카추언주가 1835명, 뉴브런즈윅이 1575명 등이었다.   광역도시(CMA)별로는 광역토론토가 6만 1840명, 메트로밴쿠버가 5만 6505명, 광역캘거리가 1만 1555명 등이었다.   각 자치시로 보면 토론토시가 3만 5550명, 캘거리시가 1만 1105명, 코퀴틀람시가 1만 735명, 써리시가 9315명, 밴쿠버시가 9285명, 버나비시가 8255명, 에드몬튼시 6685명, 보헨(Vaughan)시와 랭리시가 각각 5790명, 그리고 리치몬드힐이 5090명이다.     한인이 많이 사는 10대 도시 중에 BC주의 도시가 절반인 5개나 포함됐다.   전체 인구 대비 모국어를 한국어로 사용하는 인구 비율을 각 주별로 보면 BC주가 1.3%이다. 이어 온타리오주는 0.6%, 알버타주는 0.5%, 퀘벡주는 0.1%, 마니토바주는 0.3% 등이었다.   한국어 사용자 10대 도시의 전체 인구 대비 한국어 모국어 사용자 비율을 보면 코퀴틀람시는 7.3%로 다른 어떤 도시에 비해서 절대적으로 많았다. 특히 공식언어 포함해서 영어, 중국어(만다린, 광도어) 다음으로 한국어 사용자가 3번째로 많았다.   랭리시는 4.4%, 버나비시는 3.3%, 리치몬드힐시는 2.5%, 보헨시는 1.8%, 써리시는 1.7%, 밴쿠버시는 1.4%, 토론토시는 1.3%, 캘거리시는 0.9%, 에드몬튼시는 0.7% 등으로 나왔다.   광역도시로 따지면, 메트로밴쿠버는 2.2%, 광역토론토가 1%, 광역캘거리가 0.8%였다.   펀잡어가 76만 3785명으로 1위, 마다린이 73만 125명으로 2위, 아랍어가 62만 9060명으로 3위, 유에(Yue, 광동어)가 61만 420명으로 4위, 스페인어가 60만 795우로 5위권을 형성했다. 이어 필리핀어(타갈로그), 이탈리아, 독일, 우르두, 포르투칼어가 10위 안에 들었다. 한국어는 16위를 차지했다.   BC주만 보면 펀잡어, 만다린, 유에, 필리핀어, 스페인어에 이어 한국어가 6위를 차지했다. 온타리오주는 만다린, 펀잡어, 유에, 아랍, 스페인어 등이 5위권을 차지했고, 한국어는 18위에 그쳤다.     광역도시로 봤을 때 메트로밴쿠버는 만다린, 펀잡어, 유에, 필리핀어에 이어 한국어가 5위를 차지했다. 광역토론토는 만다린, 유에, 펀잡어, 필리핀어 우르두어가 5위권이었다. 한국어는 17위에 그쳤다.   전체 인구 대비로 보면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BC주가 가장 높은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BC주의 한국어 사용자 비율이 높은 요인으로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최근 캐나다에 온 한인 이민자, 즉 이민 1세들와 그 자녀들이 BC주에 정착하는 수가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이는 매번 인구센서스 조사를 할 때마다 BC주의 한인 수가 온타리오주에 비해 더 빠르게 늘어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2016년 BC주의 한국어 모국어 사용자 수는 5만 4395명이었다가 5년 동안 1만 140명이 늘어났다. 반면 온타리오주는 2016년 7만 3070명에서 8655명만이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처럼 점차 한인사회의 중심이 동부의 온타리오주에서 서부의 BC주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인구센서스에 잡히지 않는 유학생이나 단기 취헙 등 단기 방문자 등을 감안하면 실제로 BC주가 온타리오주가 한인 수가 더 많을 수 있다.   단기 취업비자나 단기 유학생, 워킹홀리데이 등으로 온 한인들이 대부분이 BC주에 거주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영어와 프랑스어 공식 언어 지식에 관한 질문에서 한국어 모국어 사용자 중 14만 5205명이 공식 언어를 안다고 대답한 반면 1만 7895명은 공식언어를 전혀 모른다고 대답했다. 공식 언어를 아는 한국어 사용자 중 14만 5205명이 영어만을, 305명이 프랑스어만을, 그리고 2개 다 할 줄 안다고 대답한 수는 6995명이었다.   표영태 기자중국 메트로밴쿠버 한국어 사용자 한국어 모국어 캐나다 한인

2022-08-25

[캐나다 인구센서스 2021] 코퀴틀람이 캐나다 한인 사회의 중심지

 캐나다 내에 한국어를 모국어라고 대답한 비율이 18번째로 높게 나왔다. 특히 BC주는 그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코퀴틀람이 전국에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비율도 최고였다.   연방통계청이 지난 17일부로 업데이트한 2021년 인구센서스 자료 중 언어 관련 데이터에서 한국어를 모국어라 대답한 수가 18만 4650명이었다.   2016년에 16만 455명이라고 대답했던 것에 비해 5년 사이에 2만 4195명이 늘어났다. 전체 인구대비 비율은 0.504%로 2016년의 0.461%에 비해 맨 앞자리수가 바뀌었다.   모든 언어 순위에서 한국어는 18위를 차지했다. 2016년에는 17위였는데, 타밀어에 밀렸기 때문이다.   주요 언어 순위를 보면 10위권에는 영어, 프랑스어, 펀잡어, 마다린, 아랍어, 유에(광동어), 스페니쉬, 타갈로그(필리핀어), 이탈리아어, 그리고 독일어다. 그리고 우르두어(Urdu), 포르투칼어, 힌디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이란 페르시아어, 타밀어가 한국어보다 많았다.   공식어를 빼고 나라별로 보면 한국어는 13번째로 많이 쓰이는 국가 언어이다.   BC만 보면 모국어가 한국어인 인구는 6만 4535명이다. 전체 인구 대비 1.3%나 된다. 2016년의 5만 4395명에 비해 1만 140명이 늘어났으며, 비율도 0.1% 포인트 상승했다.   주요 언어 중에 한국어는 영어, 펀잡어, 만다린, 유에(광동어), 타칼로그어, 프랑스어, 스페인어에 이어 8번째로 많았다. 2016년에도 8번째로 많았다.   BC 주요 도시별 모국어가 한국어인 인구를 보면 메트로밴쿠버의 경우 5만 6500명으로 인구 대비 2.2%였다. 다시 각 도시별로 보면 코퀴틀람은 1만 735명으로 7.3%, 써리는 9315명으로 1.7%, 버나비는 8255명으로 3.3%, 랭리는 5790명으로 4.4%, 노스밴쿠버는 1670명으로 1.9%, 뉴웨스트민스터는 1520명으로 1.9%, 메이플릿지는 1015명으로 1.1% 등으로 1%를 넘기는 도시가 즐비했다.   코퀴틀람은 공식언어인 영어를 빼면 만다린과 광동어인 중국어 다음으로 한국어 사용자가 많다.   온타리오주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인구는 8만 1725명으로 BC주에 비해 많은 편이지만 전체 인구로 보면 0.6%에 불과해 BC주에 비해 한인 영향력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광역토론토만 봐도 6만 1840명으로 1%에 불과해 메트로밴쿠버에 비해 인구 비중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미국의 LA와 마찬가지로 캐나다의 한인 중심지는 BC, 그리고 메트로밴쿠버라고 할 수 있다.   표영태 기자캐나다 인구센서스 2021 중국 캐나다 캐나다 한인 한인 중심지 한국어 사용자

2022-08-23

캐나다 한인 새내기 노리는 반복되는 수표사기

 토론토총영사관은 입금 수표의 진위 확인에 일정기간이 소요되는 것을 악용한 '수표사기' 피해가 접수됐다며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특히 수표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한국에서 막 온 새 한인들이 주요 사기꾼의 먹이감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토론토총영사관은 범죄피해 사례를 소개했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에 등록된 사진을 보고 범인은 ‘화가인데 그림 작업에 당신 사진을 사용하고 싶다’며 사진 사용에 대한 동의를 요구했다. 피해자가 사용에 동의하면 범인은 그림 구입자가 사진 사용료 등 명목으로 수표를 보내 줄 테니 일부는 사진 사용료로 사용하고 나머지 금액은 본인에게 송금해 줄 것을 요구했다. 피해자는 송금된 수표를 진짜 수표로 믿고서 은행에 입금한 이후 범인이 요구한 금액을 e-transfer 방법으로 범인에게 송금했다. 은행은 입금 수표를 가짜 수표로 확인하고(확인에 통상 2일 이상 소요) 현금화를 거부했다.   이외에도 수표 사기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사기 범행이 발생하고 있다. 유학생 등 우리 국민들이 피해를 입은 대표적인 사기범행은 가짜택시 사기, 이탈리아 자켓 사기, 보이스 피싱 등이다.   토론토총영사관은 경찰신고로 수사가 진행되고, 범죄에 책임 있는 범인들이 결국은 체포되겠지만, 이와는 별개로 많은 분들이 위와 같은 범죄 사례를 공유하고 주의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표영태 기자수표사기 캐나다 수표사기 피해 캐나다 한인 사진 사용료

2022-05-10

한인 소설, 포브스 올해 기대작 선정

 캐나다 한인 작가의 소설이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2022년 가장 기대되는 책’에 올랐다.   9일 포브스 사이트(www.forbes.com)와 허 작가 소셜미디어(SNS)에 따르면 포브스는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독자도 기대할 만한 올해의 소설을 4권 선정하면서 이 중 하나로 허주은(영어이름 준 허) 씨의 조선 시대 궁중 미스터리 소설 ‘붉은궁전’을 소개했다.   지난달 25일 맥밀런 출판사가 발간한 ‘붉은궁전’은 미국청소년도서관협회 선정도서로 뽑혔고 미국서적상협회(ABA)의 인디 부문 베스트셀러에도 올랐다.   소설은 조선 시대 영조 집권 시기인 1758년 궁궐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17살의 여주인공이 의녀가 돼 입궐하면서 궁중에서 벌어진 살인사건을 다루고 있다. 당시 영조와 사도세자의 갈등과 비운의 인물인 사도세자 부인이자 정조의 모친인 혜경궁 홍씨 등 역사적 사건과 인물이 등장한다.   포브스는 “한국 사극이나 살인 미스터리의 팬이라면 허 작가의 작품에 빠져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조선 시대 정치적으로 가장 안정됐던 영조시대 궁궐의 내밀한 사정을 우아한 필체로 그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허 작가는 SNS에 사극 드라마인 ‘대장금’과 ‘킹덤’ 등을 보면서 당시의 의상과 건축물에 대한 영감을 얻어 세밀한 묘사를 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그는 “부친 영조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에 대한 기록을 접하면서 소설을 구성하게 됐다”며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범죄, 스릴러, 미스터리 등을 입혔다”고 밝혔다.   한국에서 태어나 7살 때 가족 이민으로 캐나다로 건너간 그는 다시 귀국해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캐나다로 돌아간 1.5세다. 토론토대학에서 역사와 문학을 전공했고 토론토 도서관에서 근무하고 있다.   2000년 여성 진료 및 형사를 담당했던 다모에 관한 이야기인 ‘뼈들의 침묵’을 펴내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중국에 조공으로 바쳐지던 공녀의 이야기를 담은 ‘도둑맞은 소녀들의 숲’을 발간하는 등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 쓰기에 집중하고 했다.   허 작가는 “‘붉은 궁전’은 지난 10년간 잃어버렸던 글쓰기의 즐거움을 다시 일깨워준 고마운 작품”이라며 “시대극을 통해 한국 문화를 알린다는 사명감으로 미스터리 이야기를 계속 쓸 것”이라고 말했다.포브스 기대작 한인 소설 포브스 사이트 캐나다 한인

2022-02-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